본문 바로가기

설치사례/가스감지기 설치사례

강원도 OO업체 탄산가스감지기 설치 사례(3)

 

안녕하세요! 오늘도 역시 설치 사례로 찾아오게 됐습니다~
이번이 벌써 3번째 포스팅인데요!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가스누설감지기, 감지부
감지기를 설치하고 뚜껑을 열어보면 안쪽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수신 부는 문 가까이 달고 수신부와 연결되는 선은 천장을 통해 연결했는데요!
그 선들은 (검은색, 흰색, 빨강) 이 안쪽에 커트해서 꼽아줘야 합니다.
그래야만 수신부에서 감지가 되는지 알림이 가기 때문이에요!

 

 

탄산가스는 이산화탄소라고 할 수 있죠 ~ 둘 다 CO2입니다.
어? 탄산가스는 모르겠는데.. 이산화탄소는 친근하시죠?
농도가 높아질 수록 인체에 아주 치명적인 가스입니다!

 

 


탄산가스는 무색무취, 공기보다 1.5배 무거운 불연성 기체입니다.
건조한 공기중에서 질소, 산소, 아르곤에 이어 네번째로 양이 많은 기체에요.
무색무취라니..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지 아닌지 확인하기 어렵겠죠?

 


게다가 농도가 높아지면 혈압상승, 무통을 호소할 수 있어요..
8%이상일 경우 의식을 잃거나 호흡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20%정도 이상이 되면 중추신경의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하고 신경써야하는 부분입니다.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이산화탄소는 1000PPM(0.1%)이하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가스누설감지기를 설치하고 싶은데 어떤게 좋은 건지 모르겠어요!
이 가스들의 감지기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설치는 어떻게 진행 되는 건지..혹은 설치 위치는 어디로 잡아야할까요!
등등 문의 주시면 친절히 답해드립니다.
아래 사이트의 제품 상세  참고하시고 문의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www.gasco.co.kr/web/main.php